가스발생기 사이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발생기 사이클은 로켓 엔진의 작동 방식 중 하나로, 연료와 산화제의 일부를 가스발생기에서 연소시켜 터보펌프를 구동하고, 터보펌프를 구동한 뒤의 가스는 배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단계식 연소 사이클에 비해 터보펌프 개발 및 제조가 쉽고, 개발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가스발생기에서 연소된 연료/산화제가 추력 발생에 직접 기여하지 않아 비추력과 추진제 효율이 낮다는 단점도 있다. 가스발생기 사이클을 사용하는 주요 로켓 엔진으로는 F-1, J-2, 벌컨, 멀린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누리호(KSLV-II) 개발을 통해 관련 기술을 확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클별 로켓 엔진 - 팽창식 사이클
팽창식 사이클은 로켓 엔진의 한 종류로, 작동 유체의 팽창 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보 펌프를 구동하며, 특히 저온 연료를 가스화하여 터빈을 돌리는 방식이고, 완전 팽창식과 팽창식 블리드 사이클로 구분되며, 높은 연소실 압력과 진공 성능, 연료 오염 내성, 추력 제한을 통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 - 사이클별 로켓 엔진 - 단계식 연소 사이클
단계식 연소 사이클은 로켓 엔진의 연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모든 추진제를 주 연소실로 보내는 폐쇄형 연소 방식으로, 예연소기에서 연료와 산화제를 먼저 연소시킨 후 주 연소실로 보내 높은 효율을 얻으며, 전 유량 단계식 연소 사이클은 더욱 향상된 효율과 성능을 제공한다. - 로켓 엔진 - 터보펌프
터보펌프는 로켓 엔진에서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로 고압 공급하는 펌프로, 작동 방식에 따라 원심식과 축류식으로 나뉘며 효율적인 설계가 중요하다. - 로켓 엔진 - 추력기
추력기는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체를 움직이는 장치로, 우주선의 자세 제어 및 궤도 조정에 사용되는 로켓 엔진 형태의 스러스터와 선박 추진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러스터를 포함하며, 우주선용은 장기간 안정적인 작동이 중요하고 선박용은 기동성 향상에 기여하며, 별을 이동시키는 가상적인 메가스케일 추진 장치도 존재한다.
가스발생기 사이클 |
---|
2. 작동 원리
가스발생기 사이클은 주 연소실과 별도로 가스발생기(부연소실)에서 연료와 산화제 일부를 연소시켜, 그 연소가스로 연료와 산화제를 공급하는 터보펌프를 구동시킨다. 터보펌프를 구동한 뒤의 가스는 그대로 배출된다.
이 방식을 채택한 로켓 엔진으로는 새턴 V의 1단 엔진 F-1, 상단 엔진 J-2, 아리안 5의 벌컨 엔진, 팰컨9의 멀린 엔진 등이 있다. 한국은 KSLV-II에 사용될 KARI 75톤급 로켓엔진을 이 방식으로 개발했다.
2. 1. 장점
가스발생기 사이클은 단계식 연소 사이클에 비해 몇 가지 유리한 점이 있다. 가스발생기에 연료와 산화제를 보낼 때 단계식 연소 사이클의 고압 프리버너에 추진제를 공급하는 경우처럼 높은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보펌프의 개발이나 제조가 보다 쉬워진다.단계식 연소 사이클에 비해 비추력은 조금 낮고 추력도 떨어지며, 가스발생기용으로 쓰이는 연료와 산화제가 직접 출력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추진제 효율 면에서도 약간 뒤처지지만, 개발이나 제조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2. 단점
가스발생기에서 연소된 연료/산화제는 추력 발생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아 비추력이 낮고, 추진제 효율이 단계식 연소 사이클에 비해 떨어진다.3. 대한민국에서의 개발
대한민국은 누리호(KSLV-II) 개발을 통해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 기술을 확보했다. KARI 75톤급 로켓엔진은 누리호의 1단 및 2단에 사용되는 핵심 엔진이고, KARI 30톤급 로켓엔진은 누리호의 3단에 사용된다.
4. 주요 사용 엔진
종류 | 엔진명 | 비고 |
---|---|---|
해외 엔진 | 벌케인, HM7B | |
멀린 로켓 엔진 | ||
RS-68 | ||
RS-27A | ||
J-2X | ||
로켓다인 F-1 | ||
RD-107 | ||
CE-20 | ||
대한민국 엔진 | KARI 30톤급 로켓엔진 | |
KARI 75톤급 로켓엔진 |
- RD-107, RD-108 - 1950년대에 개발된 소련의 엔진 형식으로, 현재 운용 중인 소유스-2를 포함한 R-7 (로켓) 계열 차량에 사용되었다.[1]
- F-1 - RP-1/액체 산소 엔진으로 새턴 V 1단에 사용되었다. 지금까지 비행한 단일 연소실 액체 연료 엔진 중 가장 강력하다.[2]
- J-2 - 1960년대에 개발되어 새턴 V에 사용된 상단 액체 수소/액체 산소 엔진이다.
- RS-27A - 1990년에 처음 비행한 미국의 RP-1/액체 산소 엔진이다.[3]
- 벌케인 - 아리안 5와 아리안 6에 사용되는 LH2/액체 산소를 사용하는 유럽의 1단 엔진 계열이다.[4]
- 멀린 - 스페이스X가 팰컨 9와 팰컨 헤비를 위해 개발한 RP-1/액체 산소 엔진으로 1단과 2단 모두에 사용된다.[5]
- RS-68 - 1990년대에 에어로젯 로켓다인이 제작한 LH2/액체 산소 엔진이다. 지금까지 비행한 수소 연료 로켓 엔진 중 가장 크다.[6]
- CE-20 - 2010년대에 LVM3 발사체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인도의 LH2/액체 산소 엔진이다.[7]
- YF-20 - 1990년대에 개발되어 창정 2, 3, 4에 사용된 중국의 사산화 이질소/UDMH 엔진이다.
- TQ-12 - 랜드스페이스가 개발한 메테인/액체 산소 엔진이다. 2022년 주췌-2에 처음 사용되었다.
5.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을 사용하는 우주 발사체
참조
[1]
웹사이트
RD-107
http://astronautix.c[...]
Encyclopedia Astronautica
[2]
웹사이트
F-1 Engine Fact Sheet
http://history.msfc.[...]
2013-04-17
[3]
웹사이트
Turbopumps for Liquid Rocket Engines
http://www.pwrengine[...]
[4]
웹사이트
Vulcain-2 Cryogenic Engine Passes First Test with New Nozzle Extension
http://www.esa.int/e[...]
ESA
[5]
웹사이트
SpaceX Merlin Engine
http://www.spacex.co[...]
SpaceX
[6]
웹사이트
Delta 4 Data Sheet
http://www.spacelaun[...]
[7]
conference
Structural Analysis of Propulsion System Components of an Indigenous Cryogenic Rocket Engine
http://arc.aiaa.org/[...]
[8]
웹사이트
LE-X エンジン開発へ向けた取り組み
https://www.mhi.co.j[...]
2011
[9]
문서
로켓의 실제,JAXA우주과학연구소 우주비상공학연구계교수 마츠나가미사부로
http://lss.mes.tit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